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안드로이드 hilt
- 안드로이드 리싸이클러뷰
- 안드로이드 테스트코드
- android DI
-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라인 설명
- 안드로이드 최적화
-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라인
- RxJava
- sharedFlow
- 안드로이드 JUnit
-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라인 예시
- Hilt
- 리싸이클러뷰 최적화
- android memory leak
- 안드로이드 아키텍처 컴포넌트
- android clean architecture
- 안드로이드 Espresso
- 안드로이드 Mockito
-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라인 사용법
- 코루틴
- Android App Architecture Guideline
- 안드로이드 mvvm예제
- Android MVVM
- MVVM
- coroutine
- 스타트업 코딩테스트
- 안드로이드 의존성주입
- 안드로이드 클린 아키텍처
- Koin
- 안드로이드 mvvm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i (1)
안드로이드 연구소
[여기가 DI 설명 제일 잘함] Dagger1, Dagger2 그리고 Hilt
지난번에 포스트에서 의존중인 코드가 어떤것들인지, 의존중이 코드를 없애기위해 어떻게 3가지 방법으로 의존성을 주입하였는지(Dagger, Hilt, Koin아님), 가장 손쉽게 의존성을 주입한 3번째 방법을 하기위해 어떤 라이브러리들이 있었는지(Dagger, Hilt, Koin맞음)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이 라이브러리들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는 바로 Dagger입니다. 앞전의 의존성에 문제가 있었던 예제를 Dagger를 사용하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해볼까요? class UserViewModel : ViewModel() { private val 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using userReposiroty instance ... } ..
안드로이드 연구소/의존성주입
2023. 5. 17. 13:27